티스토리 뷰

태종 이방원 아들들 // 세종대왕, 양녕대군, 효령대군

조선의 임금중 능력이 뛰어난 왕을 꼽으라면 개인적으로 태종과 세종을 추천한다. 태종 이방원은 조선 건국의 일등공신이고 건국초 어수선한 조선을 안정시키고 조선 최고의 임금 세종대왕을 즉위시킨 왕이 태종이다.

 

태종 이방원 아들

태종은 정치적으로는 훌륭한 임금이었지만 가정적으로는 나쁜 가장 이었다. 왕자의 난을 통해 형제를 죽이기도 했고 왕권의 안정을 위해서 처남과 측근을 제거하기도 했다.

태종 이방원 아들

태종은 자식과 부인이 많은 왕으로 유명하다. 아들인 세종 또한 자식이 많았다. 부전자전인가 보다. 태종의 부인은 모두 10명이고 12남 17녀를 낳았다.

정실부인 원경왕후에게서는 4명의 아들과 4명의 공주를 두었다. 원경왕후가 낳은 4명의 아들은 대군이고 나머지 8명은 군이 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적서의 차별이 엄격했고 왕실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왕비에게서 태어난 아들만이 왕위 계승권을 가지고 있었고 "대군"이라는 호칭을 했다.

후궁에서 태어난 왕자들은 모두 "군"이라고 호칭을 했고 여자인 경우 왕비에게 태어나면 "공주"라고 호칭했고 후궁에게서 태서 나면 "옹주"라고 호칭했다.

태종은 즉위 과정도 무척 험난했다. 고려시대 과거에 급제를 할 정도로 뛰어난 학문 실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무예 또한 남달랐다고 한다.

 

왕비인 원경왕후 또한 여장부 기질이 있어서 태종이 왕자의 난을 일으킬 때 무기를 확보해서 도왔고 자신의 남동생들도 적극적으로 가담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왕이 된 이후 태종은 많은 부인들을 두었고 처남인 민 씨 형제도 제거하였다. 철저하게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결구 아들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태종은 조선의 왕위 계승을 적장자로 이어가게 하고 싶었다. 적장자란 왕비가 낳은 첫 번째 아들을 말한다. 정통성을 확보하고 왕위 계승으로 인한 다툼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해 적장자 원칙을 수립했다.

자신이 형제들을 죽이고 왕이 된 원인도 태조 이성계 이후 왕위 계승을 서자인 방석으로 확정되면서 발생한 것이다. 그래서 더욱더 적장자 계승을 하고 싶었다.

 

양녕대군은 태종의 적장자이다

이러한 이유로 태자가 되었지만 아버지 태종과 갈등이 이어지고 여러 가지 기행을 일삼으면서 결국 폐세자 되었다. 조선 최초로 폐세자가 된 적장자이다.

양녕대군이 폐세자 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한마디로 왕이 될 능력이 부족하다고 태종을 생각했다. 결국 폐세자가 되었다.

양녕대군은 폐세자가 된 이후에도 세종과 문종 그리고 세조까지 이러지는 삶을 살았다.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풍요롭고 자유로운 삶을 살았다.

 

한 가지 흠이라고 하면 세종의 아들인 세조가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왕이 되려고 하는 것을 말리지 않고 오히려 부추겼다는 것이다.

 

둘째 아들이 효령대군이다.

야사에 형인 양녕이 폐세자가 되면 자신이 세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형인 양녕이 찾아와 세자는 셋째인 충녕대군이라는 말을 해서 단념했다고 한다.

효령대군은 불교에 관심이 많아 불교와 관련된 업적을 남겼다. 양녕대군이 나는 살아서는 임금의 형이고 죽어서는 부처의 형이라고 말한 이유가 효령대군 때문이다.

 

셋째아들 충녕대군

셋째 아들이 충녕대군이다. 양녕대군이 폐위되고 세자에 책봉되었다. 이후 조선 4대 임금으로 즉위하였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세종대왕이다.

 

형들의 양보와 아버지의 배려로 왕위에 오른 세종은 죽을 때까지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에 대한 예우를 했다고 한다. 세종대왕은 조선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이 되었다.

 

태종은 충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몇년간 살다가 죽었다. 세종이 성군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 태종의 노력 때문이다. 모든 악역은 태종이 했던 것이다.

 

2022.03.17 - [분류 전체보기] -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실은 일반 백성과 다른 호칭을 사용했다. 왕비의 아버지를 부르는 호칭을 부원군이라고 한다. 왕의 아버지는 당연히 왕이 지만 그러하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럴 때 사용

dnamad.tistory.com

2022.02.16 - [분류 전체보기] - 세조는 왜 반정을 일으켜 왕이 되었나

 

세조는 왜 반정을 일으켜 왕이 되었나

세조는 왜 반정을 일으켜 왕이 되었나 단종과 사육신을 죽음에 이르게 하고 왕이 된 세조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극명하게 나뉜다. 왕이 되고 싶어 조카까지 죽인 인물로 평가되기도 하고 백성을

dnamad.tistory.com

2021.12.21 - [분류 전체보기] - 조선 당쟁 // 동인, 서인, 남인,북인, 노론, 소론

 

조선 당쟁 // 동인, 서인, 남인,북인, 노론, 소론

조선 당쟁 // 동인, 서인, 남인, 북인, 노론, 소론 조선 당쟁의 역사는 조선의 역사와 함께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좋지 않다. 하지만 당쟁이 항상 나쁜 것만은 아

dnamad.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