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조선시대 왕 조와 종 차이, 대군 vs 군, 공주 vs 옹주

조선은 아주 철저한 계급사회를 유지했다. 태어나면서 정해진 계급은 아주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신분적 차별은 왕실에서도 지켜졌다.

 

조선시대 왕실의 호칭을 무척 복잡하다. 왕족의 이름도 일반 백성들과 다르게 작명을 해서 조선 초기 이후 모든 왕자들의 이름은 한 글자였다. 그리고 이름에 사용하는 한자 또한 백성들이 사용하지 않는 한자를 사용했다.

 

백성들은 왕자와 같은 이름을 사용하면 안 된다. 그래서 왕자들의 이름은 일반 백성들이 잘 쓰지 않는 독특한 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시대 왕 조(祖)와 종(宗) 차이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조선시대 왕이름은 왕 생전에 불린 이름이 아니다. 왕이 죽고 나면 신하들이 왕이 생전의 업적들을 고려해서 붙여지는 이름으로 묘호라고 한다.

 

말 그대로 종묘사직에 올리는 이름이다. 이러한 묘호를 짓는 것을 두고 신하와 왕의 갈등도 있었고 정권이 바뀌면서 묘호가 변경되는 경우도 있었다.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국가를 창업한 왕은 조(祖)를 붙인다.
  2. 왕조를 잘 유지한 왕은 종(宗)을 붙인다.

조와 종을 붙이는 원칙은 고려시대에는 철저하게 지켜졌다. 고려왕 묘호 중 조를 붙인 왕은 태조 왕건이 유일하다. 하지만 조선에는 조를 붙인 왕이 7명이나 된다.

 

조선시대에서는 조를 붙이는 이유가 하나더 늘어났다. 국가의 커다란 어려움을 극복하거나 나라의 정통을 다시 확립한 왕은 조를 사용한 것이다.

 

조와 종의 원칙을 제일 먼저 어긴 임금이 세조이다. 선조의 경우도 원래는 선종이었다. 하지만 아들인 광해군에 의해서 선조로 변경된다.

 

인조는 반정을 통해 광해군을 몰아냈으니 국가를 다시 세운 것과 같은 조를 사용한 것이다. 처음에 종이 었다가 나중에 조로 바뀐 임금은 선조뿐 아니고 조선 후기 왕들 또한 그러했다.

 

순조, 영조, 정조도 처음 묘호는 순종, 영종, 정종이었다. 하지만 후대 왕들이 자신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선대왕 묘호를 변경한 것이다.

 

이처럼 조선왕 묘호는 원칙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후대 왕들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하면서 조와 종에 대한 개념이 모호해진 것이다.

 

조선시대 왕 27명중 조가 붙여진 왕은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이다. 광해군과 연산군은 이마저도 없었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왕은 종이 붙여졌다.

 

대군 VS 군 , 공주 VS 옹주

조선시대 왕실의 또 다른 호칭인 대군과 군, 공주와 옹주는 계급사회의 단면을 보여 주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적서의 차별이 아주 심했다.

 

적서라는 것은 적자와 서자를 말하는 것인데 정실부인이 낳은 자식은 적자, 첩실이 낳은 자식은 서자였다. 아무리 아버지가 왕이고 양반이어도 이 원칙은 조선시대 내내 지켜졌던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홍길동전에 나오는 유명한 대사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한다"라는 말이다. 첩이 낳은 자식은 차별을 받았던 것이다.

 

이러한 차별은 왕실에서도 지켜졌다. 왕비가 낳은 아들은 대군, 딸은 공주라고 불렀다. 반대로 후궁이 낳은 아들은 군, 딸은 옹주라고 불렀다.

 

조선시대 왕 중에서 대군이 아닌 군으로 왕이 된 최초의 임금이 선조이다. 선조가 최초의 방계 출신 왕이었다. 가장 오래 산 영조도 서자 출신 왕이다.

 

왕자와 대군이 가지는 신분적 차이는 크지 않았다. 조선 초기만 해도 대군은 왕위 계승 우선순위였지만 선조 이후 대군이 아닌 왕자출신 왕들도 많이 배출되었다.

 

공주와 옹주 또한 신분적 차이가 크지 않았다. 왕자들과 달리 공주와 옹주는 현실정치에 참여하지 못했고 그들의 남편들 또한 관직을 가지지 못했다.

 

하지만 왕실을 제외하고는 남녀의 차별과 적자와 서자의 차이는 무척 컸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말까지 이어졌고 조선 후기에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기본적으로 일부일처제를 원칙으로 했다. 하지만 본처를 제외하고 첩을 두는 것은 예외였기 때문에 양반들은 대부분 첩을 두었다.

 

첩을 두는 것은 자연 스러운 것이고 다른 사람에게 과시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첩을 거느리는 것은 권력과 부의 상징이기도 했다.

 

문제는 첩에게서 태어난 자식이다. 조선시대에는 양반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첩의 자식에 대해서 철저하게 차별했다.

 

법을 만들어서 차별했는데 첩의 자식은 아버지가 양반이어도 양반이 될 수 없다. 더욱 황당한 것은 첩의 자식간에도 신분의 차이가 존재했다.

 

서자, 양반이 양인을 첩으로 두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은 서자이다. 딸인 경우 "서녀"라고 했다. 어머니가 양반이 아니기 때문에 절대로 양반이 될 수 없었다. 과거시험에도 응시하지 못했다.

 

얼자, 서자보다 한단계 더 낮은 신분이다. 아버지가 양반이고 어머니가 천민인 경우 그 사이에 태어난 아들은 얼자라고 불렀다. 딸인 경우"얼녀"라고 불렀다.

 

문제는 양반 아버지 사이에 태어난 어머니가 다른 아들들 사이에 존재한 신분의 차이는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이복형제라로 나이순이 아닌 어머니 신분순에 따라 계급이 정해진 것이다.

 

얼자는 나이가 아무리 많아도 본처 소생 아들에게 반말을 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나란히 앉지 못했다. 이같은 신분제도는 조선후기 사회적 문제로 발전되기도 했다. 

 

2022.05.25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시대 추존왕 // 죽어서 왕이된 원종,장조,진종,덕종,문조

 

조선시대 추존왕 // 죽어서 왕이된 원종,장조,진종,덕종,문조

조선시대 추존왕 // 죽어서 왕이 된 원종, 장조, 진종, 덕종, 문조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40기 중에서 "김포 장릉"이 뜨거운 감자로 등장했다. 인천 검단신도시에 아파트를 건

dnamad.tistory.com

2022.05.15 - [분류 전체보기] - 한국인의 미신 // 풍수, 주역, 토정비결, 사주팔자

 

한국인의 미신 // 풍수, 주역, 토정비결, 사주팔자

한국인의 미신 // 풍수, 주역, 토정비결, 사주팔자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한국사람이 즐겨 믿는 미신이 있다. 해마다 새해가 되면 토정비결을 보고 이사를 하거나 가구를 들여놓을 때 풍수를 따

dnamad.tistory.com

2022.03.17 - [분류 전체보기] -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실은 일반 백성과 다른 호칭을 사용했다. 왕비의 아버지를 부르는 호칭을 부원군이라고 한다. 왕의 아버지는 당연히 왕이 지만 그러하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럴 때 사용

dnamad.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