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제사 지내는 순서, 차례상 차리는 방법
제사를 지내는 사람보다 지내지 않는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전통이라는 미명 아래 많은 사람이 힘들어하기도 하고 가족 간 불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제사를 지낸다면 의미와 형식을 알고 지내는 것이 좋다.
차례상(제삿상) 차리는 방법
제사는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것이고 차례는 명절(추석, 설) 때 조상에게 인사를 하는 것이다. 차례의 경우도 차례 제 사라는 의미로 제사를 지내는 집안이 있고 말 그대로 차례를 지내는 집안이 있다.
차례상과 제사상 차리는 방법에 있어 큰 차이는 제삿밥 대신에 떡국을 올리는 것과 술을 따르고 절을 하는 것이 조금 다르다. 차례를 말그대로 차(술이 아닌)를 따르는 의식이다.
- 차례상(제사상) 차리는 방법을 "진설도"라고 한다.
- 신위가 북쪽에 놓이게 한다.(절하는 쪽이 남쪽이다)
- 신위 앞에 국과 밥을 놓는다(내 기준으로 국은 오른쪽, 밥은 왼쪽)
- 두 번째 줄은 부침개와 산적을 놓습니다.
- 머리 부분은 동쪽, 꼬리 부분은 서쪽(두동미서)으로 향하게 한다.
- 어류는 동쪽, 고기는 서쪽(어동육서)
- 셋째 줄에는 탕을 올린다.(탕도 어동육서의 원칙으로 한다)
- 넷째 줄에는 나물, 젓갈, 식혜를 올린다.(마른 것은 동쪽, 물기가 있는 것은 서쪽)
- 다섯째 줄은 과일을 놓는다.
- 홍동백서(불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 조율이시 :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놓는다.
제사에 사용하는 과일은 나름 의미를 가지고 있다. "대추"는 자식이 번창하는 것을 기원한다. " 밤"은 자손이 멸망하지 않고 조상과 영원히 연결되기를 기원한다.
"배"는 무병을 의미하고 자식이 높은 관직에 오르기를 희망하는 의미이다. 과일 하나에도 커다란 의미를 둔 것이 제사와 차례를 대하는 우리 조상들의 마음이다.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 지내는 순서는 조상을 맞이하고, 식사를 대접하고, 조상을 배웅하고, 조상이 남긴 음식을 먹는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 강신 : 조상님을 맞이하는 의식으로 제주가 향을 피우고 술잔에 술을 퇴주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절을 한다.
- 참신 : 제사에 참석한 모든 구성원이 조상에게 절을 한다.
- 헌작 : 신위에 술잔을 올린다.
- 계반삽시 : 밥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꼽고 젓가락은 반찬에 올린다.
- 합문 : 조상님이 식사하는 시간 동안 잠시 나가 있는다.
- 철시복 반 : 밥뚜껑을 닫고 수저를 내린다.
- 사신 : 제사에 참석한 모두가 절을 한다
- 철상 : 제사상을 치운다.
- 음복 : 제사에 참석한 사람 모두가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시대가 변하면서 차례상이나 제사상에 올리는 음식도 많이 변화된다. 생전 조상님이 좋아하신 음식을 올리기도 한다. 제사의 가장 기본이 정성이다. 정성이 빠진다면 형식은 의미가 없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