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폐비 // 폐비윤씨, 폐비신씨, 폐비류씨, 단경왕후 신씨, 정순왕후 송씨
한때 왕실의 어른으로 존경과 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왕비중에는 궁궐에서 쫓겨난 왕비들도 있다. 이들을 폐비라고 불리는데 폐비중에는 나중에 복권이 되거나 다시 왕비가 된 경우도 있지만 반대의 경우도 많다.
폐비 이후 복위가 된 왕비들
조선 최초로 왕비에서 쫓겨난 폐비는 "신덕왕후" 강씨이다. 조선 최초로 왕비가 된 인물이고 이성계의 두 번째 아내이다.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정실부인(신의왕후) 자식이 아닌 신덕왕후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면서 발생한 이방원의 난으로 인해서 신덕왕후는 폐비가 되었다.
단순하게 폐비가 된 것이 아니고 무덤에 사용한 묘지석을 청계천 다리를 건설할 때 사용할 정도로 철저하게 잊혔다. 현종 때 송시열에 의해서 신덕왕후로 신원이 회복되었다."인목왕후"는 선조의 계비이다.
선조는 정실부인에게 왕자가 없는 상태에서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다. 임진왜란 이후 인목왕후를 왕비로 맞이해서 아들인 영창대군을 낳는다. 영창대군은 광해군에게 걸림돌이 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영창대군은 역모로 사사되고 인목대비는 폐비가 되어 유폐된다. 인조가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몰아내자 인목대비는 다시 복위된다.
"명성황후"는 고종의 정비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권력다툼을 했었고 일본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했다. 결국 우리가 잘 아는 사건이 발생해서 명성황후는 일본 자객에게 시해당하고 폐비가 된다.
이후 다시 복위가 되지만 살해당하고 폐비가 된 유일한 케이스이다. 숙종은 두 명의 왕비를 폐비시킨다. 첫 번째로 폐비된 왕비는 "인현왕후"이다. 장희빈과 다툼에서 패한 인현왕후는 폐비가 된다.
표면상으로는 장희빈과 다툼으로 폐비가 된 것이지만 자세히 보면 숙종의 계산된 정치행위에 의해서 이다. 숙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가족들도 이용했다. 나중에 복위되고 반대로 장희빈이 폐비된다. 연산군을 몰아낸 반정으로 중종이 즉위한다.
이때 중종의 비 "단경왕후 신씨"는 왕비가 된다. 하지만 반정세력들이 단경왕후의 아버지가 연산군 시절 역적인 신수근의 딸이라는 이유로 폐비시킨다.
역대 왕비중에 가장 짧은 시간 동안 왕비를 했다. 딱 7일 만에 폐비가 되어서 7일의 왕비라는 별명이 있다. 중종은 단경왕후를 매우 그리워했다고 한다.
단경왕후는 이러한 중종을 위해서 자신의 치마를 바위에 걸어 두어 중종이 보게 했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 영조 때 다시 복위가 되었다. 세조에 의해서 폐비가 된 왕비는 두 명이다.
문종의 비"현덕왕후"와 단종의 비"정순왕후"이다. 현덕왕후는 살아서 폐비가 된 것은 아니고 죽은 후 동생이 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면서 연좌되어 폐비되었다. 성종 때 복위되었다.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운명은 기구했다. 단종이 죽고 관비가 되었다가 죽었다. 노비 신분으로 살았던 것이다. 숙종 때 복위되었다.
복위되지 못한 폐비
대부분 폐비는 정치적인 이유에서 폐비가 되었다. 남편인 왕이 폐위되면서 왕비의 신분이 자연스럽게 사라진 경우를 말한다. 대표적인 폐비가 연산군의 왕비와 광해군의 왕비이다.
광해군의 왕비 "문성 군부인 류씨"는 유배생활을 하던 중에 죽었다. 조선시대 폐비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폐비 윤씨"이다. 조선 최고의 성군 성종의 계비였지만 폐비가 되었고 사약까지 받았다. 조선시대 악녀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데 폐비 윤씨로 인해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폐비 윤 씨의 아들이 연산군이다. 연산군은 어머니의 비극적 죽음을 알고 나서 폭군이 되었다고 하는데 2번의 사화를 야기시켜 수많은 사람들을 죽였다.
폐비 윤씨와 쌍벽을 이루는 왕비는 "장희빈"이다. 숙종의 계비로 궁녀에서 왕비까지 최초의 왕비였지만 결국에는 폐비가 되고 사사되었다. 장희빈의 아들이 "조선 20대 왕 경종"이다.
경종 또한 얼마 살지 못했고 어머니 장희빈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정치적인 상황에서 폐비가 된 왕비들은 대부분 복위되었지만 반정에 의해서 폐위된 왕비와 악행으로 유명한 왕비는 폐위되고도 복위되지 못했다.
2022.04.14 - [분류 전체보기] - 조선 태종 후궁과 아들들
조선 태종 후궁과 아들들
조선 태종 후궁과 아들들 조선 3대 국왕 태종 이방원은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다. 조선 건국의 일등 공신이었지만 철저하게 권력에서 배제당했고 왕이 되기 위해서 왕자의 난을 일으키고 왕이 되
dnamad.tistory.com
2022.04.12 - [분류 전체보기] - 태종 이방원 아들들 // 세종대왕, 양녕대군, 효령대군
태종 이방원 아들들 // 세종대왕, 양녕대군, 효령대군
태종 이방원 아들들 // 세종대왕, 양녕대군, 효령대군 조선의 임금중 능력이 뛰어난 왕을 꼽으라면 개인적으로 태종과 세종을 추천한다. 태종 이방원은 조선 건국의 일등공신이고 건국초 어수선
dnamad.tistory.com
2022.03.17 - [분류 전체보기] -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의 아버지 대원군 왕실은 일반 백성과 다른 호칭을 사용했다. 왕비의 아버지를 부르는 호칭을 부원군이라고 한다. 왕의 아버지는 당연히 왕이 지만 그러하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럴 때 사용
dnamad.tistory.com